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구성원 개인에 맞춘 역량개발 프로그램과 인재들의 리더 육성을 위한 차세대 리더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이 치열한 토론의 결과로 더 나은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는 '할 말 하는 문화'를 구축합니다. 회사는 지속적으로 구성원들을 위한 교육훈련을 위해 아낌없이 투자할 것을 약속하며, 투자 비용을 지속적으로 증진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하였고, 이러한 목표 하에 지난 2021년에는 작년 대비 1억 원이 증가한 7.4억 원을 구성원 교육훈련에 투입하는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국내기준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총 교육 비용 | 백만 원 | 151 | 629 | 739 |
1인당 교육 비용 | 백만 원/명 | 1.3 | 3.7 | 3.2 |
임직원 연평균 교육시간 (1인당 교육 시간) | 시간/명 | 103.6 | 147.2 | 101.9 |
교육받은 임직원 비율 | % | 100 | 100 | 100 |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구성원 개개인의 동기부여와 성장을 돕고 자신의 커리어를 설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구성원들의 헌신과 노력에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우선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MBO 모델*을 바탕을 둔 성과관리를 적용하고 있고, 구성원 개개인의 Self-Review를 통한 목표대비 달성도 및 역량으로 '성장'에 방점을 두는 평가를 지향합니다.
*MBO(Management by Objectives) 모델: 업무목표 설정 과정에 구성원과 관리자가 함께 참여하는 모델
성과관리시스템을 통해 모든 구성원은 리더와의 협의를 통해 연초 업무목표 및 역량개발 계획을 수립합니다. 연중 상시로 시스템 내 수행중인 과제를 기록하고 동료와 공유하여 협업합니다. 종료된 과제에 대해서는 자기 평가 및 리더/동료 피드백 등을 수집합니다. 누적된 기록을 종합함으로써 연초 수립했던 목표에 따른 달성도를 점검하고 이를 연말평가에 활용합니다. 이렇게 마련된 성과관리시스템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량과 직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자신의 성장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합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기업문화의 혁신(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근무자들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의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구성원들의 복리후생 지원을 통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합니다. 구체적으로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유연근무제 개선을 통한 근무자들의 자율성 보장, 2025년까지 구성원 행복도 75점 달성 등의 목표를 수립하였습니다. 지난 2021년 회사는 개선된 선택적근무제를 도입함으로써 구성원들의 근무 만족도를 높였으며, 구성원의 행복도는 75.9점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구성원들의 직위가 아닌 일과 역할을 통해 담당 업무의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지향합니다. 지금까지 통용되었던 직위를 폐지하고, 단일호칭인 PM(Professional Manager)로 통일하였으며, 업무의 성격과 특성에 따라 역량을 갖춘 구성원 누구나 과제를 발굴하고 과제의 리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신입사원에게는 조직 적응 및 필요역량 습득을 위한 Caring Period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기간에 리더와 선배사원으로부터 성장의 기회를 얻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구성원 간 원활한 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먼저, 사내 소통 메신저로서 iCON은 각 조직을 대표하여 구성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리더 및 경영층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양방향 의사소통을 촉진합니다. iCON은 조직 내 문화활동을 통해 내부의 결속을 다지는 활동과 조직내 문화에 변화와 개선을 주도합니다.
다음으로,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CEO 행복 공약인 Rho’s Kitchen(노스키친) 프로그램을 통해서 CEO와 PL급 미만 구성원 간 직접 소통의 자리를 주기적으로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로서 구성원들의 회사 생활을 비롯한 소소한 일상을 나누는 것을 목적으로 마련된 소통의 자리이며, 그동안 나누지 못했던 구성원의 pain point를 청취하고, 경영상의 아이디어를 취합하는 채널이 되고 있습니다.
운영 채널 | 내용 | |
온라인 | tongtong | 회사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문의사항 등을 게재하고 회사내 활동과 이슈에 대해 실시간으로 토론하는 온라인 게시판 |
사내방송(GBS) | 경영층의 활동, 주요사업 현황, 조직활동, 구성원 소식을 공유하는 사내 방송 | |
오프라인 | iCON |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변화 추진 아이디어를 리더에게 전달하며, 리더들과 수시로 소통을 하는 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의 가교 역할을 하는 퍼실리테이터 |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구성원들이 일과 삶의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성보호, 여가, 주거마련 등 다방면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산 전 최대 3개월까지 휴직을 제공하고, 1년 간의 육아휴직을 제공함으로써 출산 전후에 발생하는 양육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보육료 지원 및 자녀 학자금 지원 제도를 마련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노사협의회를 통해 노사 대표가 기업 경영과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 및 변동사항에 대해 투명하게 공유하고 있으며, 지난 2021년에는 총 4회의 정기 노사협의회를 통해 구성원 행복 증진 활동, HR제도, 기업문화 및 교육과정 개선 등 18개 안건에 대해 협의하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근로자들의 결사의 자유를 지지하고 단체 교섭 협약을 준수하며, 자유로운 노동 활동을 보장합니다. 2021년 12월 기준, 해외 사업장 포함 전체 노동조합 가입 대상자 중 76%에 달하는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하였습니다.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노사협의회 횟수 | 회 | 3 | 4 | 4 |
협의 안건 | 건 | 9 | 15 | 18 |
처리 안건 | 건 | 9 | 15 | 18 |
*국내기준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고충 접수 | 건 | 1 | 3 | 2 |
고충 처리 | 건 | 1 | 2 | 2 |
처리율 | % | 100 | 67 | 100 |
*해외포함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전체 임직원 수 | 명 | 159 | 378 | 933 |
가입 대상자 | 명 | 48 | 187 | 304 |
노동조합 가입자 | 명 | 9 | 128 | 231 |
전체 임직원 대비 노동조합 가입률 | % | 6 | 34 | 25 |
가입 대상자 대비 노동조합 가입률 | % | 19 | 68 | 76 |
단체교섭 적용 비율 | % | 100 | 100 | 100 |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투명한 채용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배경의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있으며, 구성원의 다양성 강화를 위하여 여성 인재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윤리규범 실천지침 및 인권정책 세부운영지침을 통해 ‘성별, 인종, 국적, 민족, 종교 등 어떠한 사유로도 고용에 있어 차별하지 아니하며, 동일한 이유로 임금, 승진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명시함으로써 구성원의 다양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국내기준
(단위: %)
구분 | 2019 | 2020 | 2021 | |
총 여성 인력 비율 | 18.5 | 22.3 | 21.6 | |
관리자 직급 여성 인력 비율 | 실무관리자 | 18.2 | 23.5 | 14.3 |
최고관리자 | 0 | 0 | 0 | |
STEM1) 관련 직무 내 여성 비율 | 11.1 | 9.7 | 6.1 |
*국내기준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총 인원 | 119 | 166 | 236 | |
고용형태별 | 정규직 | 102 | 152 | 224 |
비정규직 | 17 | 14 | 12 | |
성별 | 남성 | 97 | 129 | 185 |
여성 | 22 | 37 | 51 | |
연령별 | 30세 미만 | 22 | 30 | 28 |
30~50세 미만 | 80 | 114 | 193 | |
50세 이상 | 17 | 22 | 15 | |
업무영역별 | 사무직1) | 119 | 166 | 236 |
소수그룹 | 외국인 | 0 | 0 | 1 |
장애인 | 6 | 6 | 5 | |
국적별 | 한국 | 119 | 166 | 2362) |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총 인원 | 40 | 212 | 697 |
해외파견 | 13 | 28 | 37 |
현지채용 | 27 | 184 | 660 |
*국내기준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정규직 | 남 | 87 | 123 | 181 |
여 | 18 | 32 | 43 | |
비정규직 | 남 | 10 | 6 | 4 |
여 | 4 | 5 | 8 |
*국내기준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50세 이상 임원 | 남 | 3 | 3 | 4 |
여 | 0 | 0 | 0 | |
50세 이상 직원 | 남 | 14 | 18 | 10 |
여 | 0 | 1 | 1 | |
30~50세 임원 | 남 | 0 | 0 | 1 |
여 | 0 | 0 | 0 | |
30~50세 직원 | 남 | 66 | 90 | 156 |
여 | 14 | 24 | 36 | |
30세 미만 임원 | 남 | 0 | 0 | 0 |
여 | 0 | 0 | 0 | |
30세 미만 직원 | 남 | 14 | 18 | 14 |
여 | 8 | 12 | 14 |
*국내기준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신규 채용 | 49 | 64 | 117 | |
직급 | 직원 | 49 | 64 | 117 |
임원 | 0 | 0 | 0 | |
성별 | 남성 | 39 | 48 | 86 |
여성 | 10 | 16 | 31 | |
연령별 | 30세 미만 | 5 | 6 | 2 |
30~50세 미만 | 26 | 48 | 100 | |
50세 이상 | 18 | 10 | 15 | |
소수그룹 | 외국인 | 0 | 0 | 1 |
장애인 | 5 | 1 | 4 | |
국적별 | 한국 | 49 | 64 | 117 |
2021년도 한국 국적 구성원 중 미국 국적자 1명 포함
*국내기준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퇴직률 | % | 5.7 | 4.0 | 16.8 |
자발적 이직 | % | 5.0 | 4.0 | 16.2 |
비자발적 이직 | % | 0.7 | 0 | 0.6 |
평균 근속년수 | 년 | 7.4 | 7.3 | 6.0 |
*해외포함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총 인원 | 159 | 378 | 933 | |
고용형태별 | 정규직 | 130 | 309 | 588 |
비정규직 | 29 | 69 | 345 | |
성별 | 남성 | 123 | 297 | 688 |
여성 | 36 | 81 | 245 | |
연령별 | 30세 미만 | 33 | 137 | 325 |
30~50세 미만 | 104 | 216 | 568 | |
50세 이상 | 22 | 25 | 40 | |
업무영역별 | 생산직 | 0 | 104 | 501 |
영업직 | 0 | 0 | 3 | |
사무직1) | 159 | 274 | 429 | |
소수그룹 | 외국인 | 11 | 60 | 376 |
장애인 | 6 | 6 | 5 | |
국적별 | 한국 | 119 | 166 | 2362) |
중국 | 22 | 130 | 286 | |
폴란드 | 18 | 82 | 411 |
*해외포함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정규직 | 남 | 108 | 242 | 480 |
여 | 25 | 70 | 113 | |
비정규직 | 남 | 14 | 49 | 207 |
여 | 12 | 17 | 133 |
*해외포함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50세 이상 임원 | 남 | 4 | 4 | 5 |
여 | 0 | 0 | 0 | |
50세 이상 직원 | 남 | 18 | 20 | 28 |
여 | 0 | 1 | 7 | |
30~50세 임원 | 남 | 0 | 0 | 1 |
여 | 0 | 0 | 0 | |
30~50세 직원 | 남 | 83 | 168 | 398 |
여 | 21 | 48 | 169 | |
30세 미만 임원 | 남 | 0 | 0 | 0 |
여 | 0 | 0 | 0 | |
30세 미만 직원 | 남 | 18 | 105 | 256 |
여 | 15 | 32 | 69 |
*해외포함
(단위: 명)
구분 | 2019 | 2020 | 2021 | |
신규 채용 | 76 | 225 | 642 | |
직급 | 직원 | 76 | 225 | 642 |
임원 | 0 | 0 | 0 | |
성별 | 남성 | 52 | 178 | 465 |
여성 | 24 | 47 | 177 | |
연령별 | 30세 미만 | 9 | 6 | 22 |
30~50세 미만 | 38 | 111 | 370 | |
50세 이상 | 29 | 108 | 250 | |
소수그룹 | 외국인 | 0 | 0 | 1 |
장애인 | 5 | 1 | 4 | |
국적별 | 한국 | 51 | 64 | 117 |
중국 | 12 | 101 | 189 | |
폴란드 | 13 | 60 | 336 |
2021년도 한국 국적 구성원 중 미국 국적자 1명 포함
*해외포함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퇴직률 | % | 5.4 | 12.9 | 26.5 |
자발적 이직 | % | 11.3 | 11.3 | 17.2 |
비자발적 이직 | % | 1.6 | 1.6 | 9.3 |
평균 근속년수 | 년 | 6.2 | 3.9 | 2.3 |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 명 | 1 | 1 | 0 |
여성 육아휴직 사용자 | 명 | 0 | 0 | 0 |
총 육아휴직 사용자 | 명 | 1 | 1 | 0 |
육아휴직 사용후 업무 복귀율 | % | 100 | 0 | 0 |
육아휴직 복귀후 12개월 유지율 | % | 10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