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모든 구성원과 고객들이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고, 발생 가능한 모든 부정적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이행중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사는 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공개, 화학물질 노출사고 0건, 제품의 부정적 영향 최소화를 위한 전과정 평가 실시, Phase-out 로드맵 공개 등에 대한 목표를 수립하였고,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이러한 목표에 따라 제품에 포함된 모든 화학물질의 목록을 공개하였고, 화학물질 노출 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된 바가 없으며, 전과정 평가를 16가지 영역에 대해 실시하고 있으며, 완제품에 대한 유해물질 위험성 평가를 100% 달성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제품 유해성 관리 전담 부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유해화학물질 법정 허용 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우리 제품으로 인한 제품 안전사고 및 환경영향 최소화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국내외 환경규제 정보를 바탕으로 고위험성 화학물질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통합관리 시스템(Hi-Chems)*을 도입함으로써 화학물질과 관련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Hi-Chems를 통해 화학물질의 도입 및 사용에 이르는 과정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사전에 사고를 예방합니다. SK 아이이테크놀로지는 REACH SVHC, 유독물질, 사고대비물질 등과 같은 고위험성 화학물질을 철저히 관리하기 위하여 화학물질관리 체계를 지속 정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화학물질 통합관리 시스템(Hi-Chems): 각종 화학물질규제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부서간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검토하고 관리하는 자체 개발 시스템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화학물질로부터 구성원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과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제고함과 동시에 철저한 관리를 바탕으로 지난 3년간 화학물질 노출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구분 | 내용 |
01 | 작업구역 내 위험물질 유출 방지 기술 적용 |
02 | 위험물질 유출 여부 실시간 계측 |
03 | 제품별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사업장 비치 |
04 | 설비 및 화학물질 변경사항 상시 검토 |
05 | 법적 관리 및 등록 대상 물질 누락여부 관리 |
(단위: 건)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목표 | 2030 목표 |
화학물질 노출사고 | 0 | 0 | 0 | 0 | 0 |
근로자 화학물질 노출 기준초과 사고 | 0 | 0 | 0 | 0 | 0 |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구매 단계부터 제품의 제조 및 납품 단계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제품 유해성 관리(RoHS, REACH SVHC 등)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품질관리 전담부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내 유해화학물질이 발견된 경우 규제 Phase-out 계획 수립을 통해 유해성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위해 제품 내 포함되는 모든 화학물질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모든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RoHS1), EU REACH SVHC2), Sin List3) 등 국제 화학물질 관리규제에 따른 유해화학물질이 제품에 포함되지 않도록 개발단계부터 양산단계까지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매년 모든 제품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전량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해화학 규제 물질이 검출될 경우 단기 및 중장기 Phase-out 관리기준을 수립하고 이행하여 우리 제품에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단위: %)
구분 | 2020 | 2021 | 2022 목표 | 2030 목표 | 2050 목표 |
제품별 유해성 평가 비율 | 100 | 100 | 100 | 100 | 100 |
(단위: %)
구분 | 국제 화학물질 규제 대상물질1) | 2020 | 2021 | 2022 목표 | 2030 목표 | 2050 목표 |
LiBS | - | 0 | 0 | 0 | 0 | 0 |
CCS | - | 0 | 0 | 0 | 0 | 0 |
FCW | N,N-DIMETHYL ACETAMIDE2) | 2 미만 | 2 미만 | - | - | 0 |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유해화학물질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검출된 모든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Phase-out 정책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이 발견될 경우, 연구개발 단계부터, 구매, 생산, 품질관리까지 모든 관련 부서의 검토과정을 거쳐 중장기 Phase-out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고 있습니다. 모든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여 고객은 물론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고, 지구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유해화학물질 대체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명하기 위하여 Phase-out 목표와 실행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인체독성이 강한 Tetrahydrofuran의 사용을 완전히 Phased-out하여 근로자와 고객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거하였습니다.
구분 | 내용 |
화학물질명 | Tetrahydrofuran (CAS No. 109-99-9) |
건강영향 |
|
Phased-out 내용 | CCS 공정에서 Solvent로 사용되던 Tetrahydrofuran을 공정고도화를 통해 인체에 무해한 Water-based Recipe로 대체 완료 |
Phased-out 완료 시점 | 2018년 Tetrahydrofuran has phased-out |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원재료 채취에서부터 제품 생산 및 납품에 이르기까지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영역에 대해 정량적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ISO 14040 국제표준에 따라 전과정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친환경 제품의 생산과 안전한 제품의 생산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환경 영향 | 인체 영향 | ||
기후변화 | 오존층 파괴 | 인체독성 (암 계열) | 미립자 물질/호흡기 무기물 |
토지 사용 | 부영양화 (토양) | 인체독성 (암 외 계열) | 전리 방사선 |
용수 사용 | 부영양화 (담수) | 광화학 오존 형성 | |
생태독성 (민물) | 부영양화 (해양) | ||
자원 사용 (광물, 금속) | 산성화 | ||
자원 사용 (화석연료) | 지구 온난화 |
(단위: %)
구분 | 2020 | 2021 | 2022 목표 | 2030 목표 | 2050 목표 |
전과정 평가 | 99 | 99 | 99 | 100 | 100 |
제품별 매출액 기준